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듀얼마스터즈 플레이스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기타 == 빡센 가챠 확률에 비해 골드 수급량이 상당히 적으며, 핵심 컨텐츠인 랭크 매치도 고랭크 구간에 도달하지 않는 이상 보상이 꽤나 부실하다. 이는 다시 말해 티어 덱이 없는 저랭크 유저들이 좋은 카드를 구하기가 어렵다는 뜻. 때문에 게임을 시작했다면 초반부터 어떤 덱을 짤 것인지 생각해서 해당 덱에 필요한 카드들을 집중적으로 구해나가는 것이 좋다. 기본적으로 하루에 한 팩을 구매할 수 있을 정도의 골드를 수급할 수 있는데, 무과금 유저라면 이를 효율적으로 이용해 꾸준히 필요한 카드를 모아나가는 플레이가 요구된다. 자신이 짤 덱에 필요 없는 카드라면 과감히 갈아버리는 것도 방법. 그래도 매 환경마다 가루를 적게 사용하는 이른바 뉴비 친화형 염가 덱이 꾸준히 환경권에 상재하고 있기 때문에 랭크 매치를 등반하는 데에는 고레어 카드가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마나 기반의 게임이다보니 초반에 할 수 있는 것들이 적어, 저코스트 크리처들로 몰아치는 속공 덱으로 플레이해도 어느 정도 승률이 보장되기 때문.[* 실제로 2020년 11월에 개최된 제 2회 배틀 아레나에서는 SR등급의 고레어 카드들을 주렁주렁 달고있는 덱들 속에서, SR은 커녕 VR등급 카드조차 홀리 스파크 4장밖에 없고 덱 파츠 레어도의 대부분이 C~UC등급이었던 초 저가형 불빛속공 덱이 우승을 차지했다.] 렌탈 덱들도 나름 구성이 탄탄하여 골드 구간 정도까지는 통용되는 수준이다. 더불어 월말에는 랭크에 따라 VR등급의 카드들을 보상으로 지급하고,[* 흔히 필카라 불리는 범용성 있고 사용률이 높은 카드들을 위주로 지급한다.] 각 포맷 마스터 달성시 기준으로 매월 30팩이 한번에 보급되기 때문에 무리하게 스킨작을 할 것이 아니라면 어느 정도 궤도에 오른 뒤에는 포인트가 되려 남게 된다. 안드앱을 통한 공식 PC판으로도 존재한다. [[https://www.andapp.jp/apps/6234675259375616|*]] 신팩 업데이트나 콜라보 시기가 오면 안드앱에서 과금시 포인트를 추가 적립해주는 이벤트를 주기적으로 시행하기 때문에 과금을 할 생각이 있다면 이때 하는 것이 좋다. 모든 크리처에 성우를 붙이고,[* 이니시에이트나 패러사이트 웜 종족 등 설정상 사람의 말을 할 수 없는 크리처의 경우, 성우 대신 개별 효과음이 붙는다.] 특히 베리 레어 이상의 카드에는 일일이 고유 이펙트[* 데몬 핸드의 경우 정말로 크리처가 검은 손에 뒤덮여 사라지는 연출이 나오며, 초룡 바쥬라의 경우 상대 마나 존을 털어버릴 때 쇠사슬이 나와 상대 마나 존을 찍어버리는 강렬한 연출이 있다.]까지 넣어준 점에 대해선 호의적인 반응이 많다.전문 성우말고도 듀얼플레의 유튜버인 사랑의 전사, 한조 그리고 DASH TV의 쇼호스트였던 DJ(듀얼 잭커) 쇼, DH(듀얼히어로) 유&아츠토 등도 성우로 참여하는 등 유튜브 관련 활동도 활발하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